본문 바로 가기

SK Planet

KO EN
Home
홍보센터
보도자료

보도자료

SK플래닛의 최신 보도자료를 만나보세요!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 개소 1주년

2011.10.25
- 18,653명 3,232개사 이용, 1,460건의 아이디어 접수 … 교육ㆍ개발비ㆍ개발공간ㆍ출시 후 마케팅활동까지 전방위 지원
- 22개 앱 출시 … T 스토어ㆍ앱 스토어ㆍ안드로이드마켓 누적 다운로드 약 100만건 달성
- T 아카데미, 6,800명 수강생 배출 … 전문가 과정 취업ㆍ창업률 64%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 개소 1주년 기념사진입니다. 현숙막에 상생혁신센터 1주년 기념이라고 적혀있습니다.

SK플래닛(대표 서진우, www.skplanet.co.kr)의 개방형 모바일 생태계 육성 센터인  상생혁신센터가 25일 설립 1주년을 맞이했다.
SK플래닛은 서비스 플랫폼 시험 성공을 위해서 모바일 생태계 확대를 위한 개방과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지난해 10월 서울대학교 연구 공원 내 "상생혁신센터"를 개소하였다. SK플래닛은 상생혁신센터를 통해 외부 개발사 및 개인 개발자를 교육, 육성하고, T맵, T스토어, SMS/MMS 등 시장 내에서 경쟁력을 가진 서비스들의 기반기술(API)을 공개하는 등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 육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이에 2010년 10월, 서울대 연구공원 내에 '상생혁신센터'를 개소하고 ▲오픈이노베이션센터(OIC) ▲T 아카데미 ▲MD테스트센터 등 총 세 개의 센터를 통합 운영하고 있다.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의 오픈이노베이션 센터에서는 개방과 협력을 통한 외부 파트너들과의 동반성장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창업자 지원을 위한 '1인 창조기업 육성', 중소기업과 동반성장을 위한 '파트너사 사업지원', API 활성화를 위한 'Open API 협력 프로젝트', 일반인들의 위한 '상시 아이디어 제안' 사업을 운영해왔다.

지난 1년간 상생혁신센터를 통해 접수된 아이디어는 총 1,460건으로 그 중 48건이 채택돼 실제 개발이 진행됐으며, 채택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개발비ㆍ개발공간ㆍ앱 출시 후 마케팅 활동 등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졌다.

그 성과로 현재까지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를 통해 총 22개의 앱이 출시되었으며, T스토어, 앱 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등 누적다운로드가 약 100만 건에 달한다.

T 아카데미는 체계적인 IT 실무 교육을 통해 전문 개발자 육성을 위해 설립된 교육기관으로 설립 1년 반 만에 약 6,800명의 수강생을 배출했다.현재 T아카데미는 오프라인 채용설명회, 온라인 Job Store 등을 실시해 수료생들의 취업과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한 지역 모바일 IT 산업이 활성화 되도록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 소재 대학과 연계해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개발자들의 전용 테스트 공간인 MD(Mobile Device) Test Center에서는 총 13,644명의 개발자와 3,212개의 개발업체에게 테스트 룸과 단말기 등을 무료로 지원하였으며, 국내 최대 규모의 테스트 센터로 자리잡았다.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는 아이디어 제안접수를 비롯해 T아카데미를 통한 개발자 교육?육성부터 개발공간 지원, 그리고 개발비 및 마케팅 활동 지원까지 개발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끄는 모바일 생태계에서의 종합지원체계를 구축했다.

SK플래닛은 "앞으로도 상생혁신센터를 중심으로 개방과 협력을 통해 개인 개발자 및 중소 업체들과 함께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데 힘쓸 것"이라며, "상생혁신센터에서 외부개발자들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그들의 성공 스토리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10월 25일 오후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 1층 로비에서는 1주년 간담회가 개최됐다.
간담회에는 상생혁신센터 관계자와 개발자 20여명이 참석해 지난 1년간의 사업 성과와 변화를 돌아보고, 앞으로 상생혁신센터가 지속적으로 외부 파트너들과 동반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 SK플래닛 이주식 Service Platform BU장은 "외부 개발자 지원 사업과 SK플래닛의 플랫폼을 개방하는 활동은 개발자 여러분과 SK플래닛이 서로 윈-윈하는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다"면서 "개발자 여러분이 SK플래닛의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산업에서 성공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원하며, SK플래닛 역시 여러분과 함께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로 도약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1인 창조기업 육성] 실제 창업에 필요한 창업자금, 개발공간 및 Test 장비 지원, 기업은행과 연계한 세무 및 법무 컨설팅 지원

1인 창조기업 육성 프로그램으로 접수된 아이디어는 1년간 총 71건으로, 이 중 12개의 협력사를 '1인 창조기업 육성프로그램' 대상자로 선정했다. 개인 개발자에게 최대 5천만원의 개발비를 지원하고, 사무공간 및 테스트 단말기 제공, 마케팅 지원, T 아카데미 교육 등 1인 창조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실시했다.

지난 2월부터 '환전왕', '어린이 실로폰', '메가펀치' 등 총 6개의 앱이 시장에 출시됐다.
출시된 앱에 대해서는 언론홍보 및 In-app광고 등 별도의 마케팅 활동을 지원했다.

◆[파트너 사업제안] 120개 사업 제안 중 7개 중소기업 선정ㆍ개발비 투자 및 출시 후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과 프로모션 지원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는 사업과 연계된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는 법인 기업을 선정해 개발비 및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는 파트너 사업제안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실제로 지금까지 접수된 제안은 120건으로 제안업체의 90% 이상이 신규 업체로 중소기업들에게는 시장 진출을 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지난 1년간 사업제안 아이디어는 총 120건, 이 중에서 7개의 협력사를 선정해 개발비의 50%를 지원했다.
또한 별도의 프로모션이 필요한 경우, 언론 홍보와 In-app 광고 외에 별도의 프로모션을 실시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 현재 시장에 출시된 서비스는 T map 기반의 '스마트 안심귀가' 앱과 안면인식 측정기술을 기반으로 한 '시크릿 페이스'가 있다.

퍼스텍에서 개발한 '시크릿페이스'의 경우 온라인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뷰티 관련 카페와 제휴해 카페 회원이 메이크업 전과 후의 얼굴을 찍어 앱으로 점수를 매겨 이벤트에 응모하면 점수 차가 가장 많이 나는 사람에게 경품을 진행했다. 그 결과,  '시크릿 페이스'는 T스토어, 앱스토어 등 총 누적다운로드 60만 건을 기록했다.

◆[Open API 협력 프로젝트] API 개방으로 T map API 활용한 서비스 연이어 출시 

지난 3월 처음 실시한 「오픈 API 협력 프로젝트」에는 아이디어를 제안한 총 77개 외부 개발사ㆍ개인 개발자 중 한국데이타하우스, 애드애즈프렌드, 파네즈, 지오캐싱 코리아 등 총 7개 협력사를 선정해 지원을 결정했다.
선정된 아이디어는 LBS(위치기반서비스)인 T맵의 위치정보 및 실시간 빠른 길찾기의 특성을 활용해 운송, 게임, 광고, 상거래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이용자 편의를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는 오픈 API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선정된 중소 개발사들에게 최대 5억원의 개발비와 각종 마케팅 활동 지원, 사무 공간 지원을 비롯하여 별도의 프로모션을 통해 시장에서 서비스가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했다. 

이를 통해 지난 7월부터 '지오캐싱', '시크릿박스', '니어바이', '지오트럭' 등 총 4개의 앱이 출시되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상생혁신센터는 추가로 프로젝트를 운영해 협력 개발자 규모를 확대하고, 모바일 생태계  기반 조성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 [T아카데미] 약 6,800명 수강생 배출…수료생 가운데 실제 취업률 64%.  졸업생의 취업과 창업 활성화를 위한 멘토링 제도, 취업박람회 개최 

T 아카데미는 스마트폰 시대에 전문 개발자 육성을 위해 체계적인 기반을 마련하고 중소 IT개발사의 업무 역량향상을 돕기 위해 설립됐다.
설립 1년 반 만에 강좌 수를 43개로 확대, 현재까지 약 6,800명의 수강생을 배출했다.

현재 T 아카데미는 모바일 IT 교육기관을 넘어서 실제 창업과 취업으로 이어지는 체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오프라인 채용설명회, 온라인 Job Store, 모바일 앱 Biz 창업과정 등을 운영하면서 수료생들의 취업과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전문가 과정의 수료생의 경우 취업ㆍ창업률이 64%에 달한다.

최근 T아카데미는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 소재 대학과 연계해 교육프로그램을 지방까지 확대 실시함으로써 모바일 IT 산업이 전국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